09
03
이 포스트는 정신 건강에 최고로 좋은 3분 기록법(조벽 고려대 석좌교수)_유튜브 스터디언 채널을 보고 기록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자주 보며 실천하기 위해 기록한 것으로, 링크의 영상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분 행복 일기 작성 방법은?

행복일기는 하루에 단 3분만 투자하면 된다고 합니다.
먼저, 자기 전에 오늘 느낀 감정을 하나 적습니다.
좋은 일에 집중하기 위해 오늘 있었던 좋았던 일을 기록합니다.
좋지 않았던 일도 기록하되, 그럼에도 다행인 점을 함께 적습니다.

양면성을 인정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

모든 것에는 장단점이 있어서 양면을 바라봐야 제대로 이해하고 사는데 중요합니다.
자신을 이해하고 성장하기 위해 자기의 장점을 인정하고, 다른 것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하고 기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작은 일에서도 기여한다는 의식을 가지는 것이 삶과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마음 건강을 위한 중요한 방법은?

몸 건강은 올바른 식습관, 운동, 휴식, 충분한 수면으로 케어 가능합니다.
마음 건강은 상념과 감정을 관리하는 노력과 연결된다고 합니다.
무상 무념(무소불념)은 괴로움을 벗어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인데,
명상을 통해 이를 실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호상호념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무념으로 명상을 즐기려 하면 잡념에 얽힐 수 있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상호념을 통해 긍정적인 생각을 유지하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을 영상에서는 강조합니다.

1대 3 호상호념으로,
부정적인 생각이 아닌 긍정적인 생각을 3배 정도 많이 가질 때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몸, 마음, 정신의 균형은 왜 중요할까?

몸은 존재를 위한 필수 자원이고, 마음은 관계 형성에 중요한데,
정신은 영성과 결합된 상태로, 이를 조율하여 성공과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마음씀씀이가 좋아야 행복할 수 있으며,
몸은 나에 대한 것, 마음은 관계에 필요하고, 정신은 사회와의 관계에 중요합니다.
몸, 마음, 정신을 조율하고,공익 조율을 통해 평화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건강한 관계 형성을 통해 행복과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합니다.
교수님은 자기 조율, 관계 조율, 공익 조율. 이 3가지 키워드를 강조합니다.

행복은 언제 느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성공 후에 행복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행복은 살아가는 방식에 있으며 결과가 아닙니다.
행복을 미루면 결국 그 행복을 얻지 못할 것입니다.
힘들게 살아온 대가로서의 행복이 아니라 삶을 풀어나가는 방식에서 찾아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행복을 추구하고, 그에 대해 고민하면 성공적인 삶을 더 즐기며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합니다.

아내가 추천해주어서 요즘 조벽 교수님의 강연 영상을 여러 편 보고 있는데,

이 영상 내용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학생들에게는

아래 내용을 지도하고, 매일 아침 활동으로 행복 일기 작성하기를 실시하려고 한다.

 

행복일기 쓰기를 하는 이유

 

정신이 건강해 지려고, 그런데 정신 건강의 핵심은 고마움을 알아차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맙다는 것은 시각의 문제이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도 어떤 사람은 그것을 하찮게 볼 수도 있고,

또 다른 사람은 높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맙다는 것은 주관적인 것이다.

 

그런데, 내가 고마운 것을 많이 발견할수록 나에게 베풀어준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자신이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이 행복일기 쓰기는 일상에서 고마움을 하나라도 더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성공 후에 행복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행복은 살아가는 방식에 있으며 결과가 아니다.

그래서 행복을 미루면 결국 그 행복을 얻지 못한다.
힘들게 살아온 대가로서 행복을 얻으려고 하지말고

지금 나 자신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보며 행복해지기를 바란다.

금요일 행복일기 쓰기 방법

1. 이번주 생각나는 나의 장점 기록하기 

  - 작은 장점이라도 기록하여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느끼자.

 

2. 이번주 생각나는 다행인 점을 기록하기

  - 좋지 않은 일도 있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래서 다행이구나 느끼자.

 

3. 이번주 생각나는 고마운 것 기록하기

 

4. 이번주 생각나는 내가 기여한 것 적기

  - 작은 행동도 친구를 기분 좋게 하였다면 그것도 기여한 것이니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

 

 

COMMENT